강점을 찾고 활용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성공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긍정심리학자인 피터슨과 셀리그먼은 우리가 이러한 강점을 분류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7개의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들의 분류체계는 강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만의 강점을 발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명확한 드러남: 강점은 사고, 행동, 감정 전반에서 분명하게 드러나야 합니다. 이는 강점이 일상생활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성공적 삶의 기여: 강점은 단순히 성공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성공적인 삶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강점이 어떻게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윤리적 기준: 강점은 윤리적인 가치를 가져야 하며,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강점이 어떻게 타인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합적 상승작용: 자신의 강점이 다른 사람의 강점을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서로의 강점을 강화시켜야 합니다. 강점이 어떻게 협력과 조화를 이루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사회적 지원: 강점을 강화시키는 사회적 제도나 관습 등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는 강점이 어떻게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보편적 합의와 인식: 강점은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사람들이 그 강점이 발휘되는 상황을 쉽게 떠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
하위 개념 부재: 강점은 더 작은 개념으로 분할되지 않아야 합니다. 강점이 구체적이고 독립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피터슨과 셀리그먼은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VIA-IS라는 강점 분류 체계를 개발했습니다. 이 체계는 학습, 용기, 관계, 정의, 절제, 초월 등 다양한 영역의 강점을 포함합니다.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분류를 참고하거나, 온라인상에서 강점을 찾아볼 수 있는 테스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IA-IS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갤럽의 스트렝스파인더는 유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스트렝스파인더는 승부근성, 경쟁력 등 34개의 강점을 포함하며, 조직 구축과 관리에 중점을 둔 180문항의 설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강점을 찾고 활용하는 것은 자신감을 높이고, 성공적인 삶을 이끄는 핵심입니다. 자신의 강점을 찾아 그것을 삶에 적용하면, 더욱 풍부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www.viastrengths.org : 무료
'자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관리의 마법: 168시간의 효율적 활용 전략 (52) | 2024.02.22 |
---|---|
강점 강화: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 (50) | 2024.02.21 |
산만한 기분 극복: 집중력 향상을 위한 4가지 전략 (56) | 2024.02.17 |
강점 활용, 일상에서 성과로 이어지는 길 (50) | 2024.02.17 |
말의 힘: 플라시보, 노시보, 그리고 삶의 창조 (71)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