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창의성 5

디즈니의 세 방: 아이디어 조직화로 이끄는 창의성과 혁신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창의성"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스콧 벨스키는 그의 저서 '디즈니'에서 아이디어를 조직화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그는 "창의성만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각을 조직화하니 모든 것이 달라졌다."라며 아이디어를 엮어내는 과정이 혁신의 주요 열쇠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이디어를 잘 조직화하는 방법에 대해 종종 방황합니다. 벨스키는 디즈니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디즈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조직화하기 위해 1호실, 2호실, 3호실, 이렇게 세 개의 방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각 방은 창의성과 혁신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 필수적인 단계를 담당하며, 이를 통해 근본적인 창의성과 이를 구현하는 능력을 발휘합니다. 1호실은 ..

창의·혁신 2023.10.20

사내 제안활동,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을까요?

기업에서는 직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내 제안제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활동은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물거품으로 사라지곤 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리고 어떻게 하면 사내 제안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프랑스 몽펠리에 경영대학원의 힌드 벤뱌 부교수는 MIT 슬론 메네지먼트 리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재미요소를 더하라는 것입니다. 직원들이 사내 제안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면 이를 재미있는 것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처럼 포인트나 보상을 주거나 주식시장처럼 아이디어에 가격을 매기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직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가 얼..

조직 2023.09.22

놀이는 창의성과 혁신의 원천

놀이를 통해 창의성과 혁신을 이끌어내는 기업들의 사례와 그 중요성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다이슨과 IDEO의 놀이적인 문화와 제품 개발 과정을 예시로 들고, 놀이가 기업 경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 놀이와 창의성, 기업의 성공비결 놀이는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활동입니다. 놀이를 통해 어린이들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하지만 놀이는 어린이들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성인들도 놀이를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놀이를 통해 창의성과 혁신을 이끌어내는 기업들의 사례와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놀이로 직원들의 창의성을 높이는 기업들 조직론의 권위자인 제임스 ..

창의·혁신 2023.09.10

브레인스토밍 말고 바디스토밍

고객이 되어 보는 체험을 통해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 경쟁이 치열한 현대의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기업의 성장과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업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고, 그러한 아이디어를 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브레인스토밍이 가장 널리 알려진 아이디어 발상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때때로 아이디어가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디스토밍입니다. 바디스토밍이란, 브레인스토밍이 뇌의 생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면, 바디스토밍은 실제로 몸으로 체험하고 경험함으로써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 방법은 특히 사용자 경험에 중점을 둔..

창의·혁신 2023.09.09

대표님이 카멜레온?

CEO들은 회의의 목적에 따라 리더십 스타일을 바꿔야 합니다. 아이디어 회의에서는 자유방임형 리더로, 의견 조율 회의에서는 카리스마형 리더로 행동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CEO는 창의성과 논리성을 모두 발휘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CEO의 회의 리더십 스타일 CEO들은 회사의 비전과 전략을 결정하고, 직원들을 이끌고, 고객과 파트너와 협력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CEO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바로 회의입니다. 하버드와 런던 정치경제학대학(LSE)의 연구에 따르면, CEO들은 하루의 3분의 1을 회의에 소비한다고 합니다. 이는 일주일에 평균 21시간 이상을 회의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CEO는 어떤 방식으로 회의를 주도하고 ..

조직 2023.08.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