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원칙

헌법과 같은 기업의 경영원칙

Dr. Peter Kim 2023. 10. 10. 17:30
반응형

원칙은 행동이나 이론에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기본적인 규칙이나 법칙을 의미

 

 기업의 행동 양식이나 이론을 규정하는 일관성 있는 기본 법칙을 '원칙'이라고 정의합니다. 기업이 경영에 원칙을 두면 이는 외부의 경쟁사나 다른 조건들로부터 독립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기반이 됩니다. 이러한 원칙은 기업의 핵심 가치와 비전을 반영하며, 일관된 경영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경영원칙은 곧 기업의 정체성을 구성합니다. 외부 환경이 급변하더라도 원칙이 있는 기업은 자체 운영 기준과 판단력을 갖게 되어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객이나 직원을 중시하며, 단기적 이익과 장기적 이익 사이의 균형을 적절히 이룰 수 있는 조직을 만들어냅니다.

 



 경영전략은 기업의 장기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과 방법을 결정하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략은 경영원칙에 기초하여 수립되며, 그 원칙은 경영 활동의 방향과 의사결정의 기준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경영전략의 수립 없이는 경영 활동은 일관성을 잃고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단순히 경쟁사의 전략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체의 경영원칙에 따라 독특한 전략을 수립해야만 기업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원칙들은 단순히 공표되는 것 이상으로, 조직 내에서 실제로 공유되고 실천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업은 경영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조직 운영 제도를 체계화해야 합니다. 조직 운영 제도는 경영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과 절차를 포함하며, 모든 구성원이 공통된 목표를 추구하고 일관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조직 운영 제도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경영원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유연하게 개선되어야 합니다. 기업은 변화하는 환경을 주시하고 조직 운영 제도를 적시에 수정하여 경영원칙과 일관된 방향으로 조직을 운영해야 합니다. 이는 기업이 일등 기업으로 성장하고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지속가능한 경영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는 환경,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책임과 균형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성공과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칙 중심의 경영은 이러한 지속가능한 경영의 원리를 바탕으로 기업의 존재 가치를 실현하고 사회적으로도 기여할 수 있는 경영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칙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기본 규칙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기업의 경영은 독립적이며 균형과 고객 중심의 조직을 만들어냅니다. 이를 위해선 기업이 갖는 경영원칙은 핵심 가치와 비전을 반영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조직 운영 제도를 체계화하여 실현해야 합니다. 기업은 지속가능한 경영의 원리를 바탕으로 이러한 원칙을 실현하고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경영 방식을 추구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