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창립자 롭 카피토(Rob Kapito)가 말했다는 내용에서 시작하여, 밀레니얼 세대들의 일상 속에서 게임적인 요소를 찾는 특징을 다루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현대 기업들이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이를 통해 기업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먼저, 게임의 원리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게임의 기본 원리는 '재미'와 '보상'에 있습니다. 사용자가 무언가를 달성했을 때 그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활동을 지속하게 됩니다. 이런 게임의 원리는 실제 기업 경영에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자동차기업 닛산(Nissan)은 전기 자동차 리프(Leaf)에 '카윙스(Carwings)'라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운전자의 주행 성과를 통계로 제시하여, 그에 따라 메달이나 보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쟁 원리는 운전자들에게 운전 습관 개선의 동기를 부여하며, 이를 통해 환경 보호와 연료 절약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게임화 전략은 닛산의 리프 판매량 증가에 큰 힘을 실었습니다.
다음으로 다루어진 예시는 국내 포털사이트 '다음(Daum)'의 '다음 팁(Daum Tip)'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배지'라는 보상을 제공하며, 이는 사용자의 참여와 활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답변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장학금'이라는 현금 보상 제도도 도입되었습니다. 이런 보상은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했을 뿐 아니라, 다음의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역할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설명된 예시는 '스타벅스 리워드 시스템'입니다. 스타벅스는 사용자의 구매 활동에 따라 '레벨 업'을 제공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런 게임화 원리는 사용자들의 구매 동기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게임의 원리를 기업 경영에 도입하는 것은 단순히 '재미'를 주는 것을 넘어, 고객의 참여와 충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현대 기업들은 이런 전략을 적극 도입하여, 경쟁력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에서 성공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고객·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회사 앞날을 예측해 줄 믿을 만한 정보, 어디서 찾을까? (10) | 2023.10.30 |
---|---|
고객의 마음을 얻는 방법이 있습니다. (16) | 2023.10.29 |
고객이 정말 원하는 제품을 만들고 싶으신가요? (16) | 2023.10.28 |
제품 컨셉은 좋은데 왜 안 팔리지? (7) | 2023.10.28 |
매출이 제자리?? ‘고객’을 바꿔라! (3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