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혁신

"대기업도 혁신을 하나요?"

Dr. Peter Kim 2023. 10. 24. 17:30
반응형

 혁신은 대기업에게 필요한 것일까요? 혹은 그들은 이미 충분히 성장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도에 에너지를 소비할 필요가 없을까요? 이런 질문들은 종종 논의되곤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기업은 자사 주요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내고 있으며, 다른 산업으로 진출하는 대규모 혁신 시도는 드물게 보입니다.



 과거의 사례를 살펴보면 대기업이 자사 주력분야 이외의 분야에 진출하지 않았던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철도 회사들은 자동차나 트럭을 만들지 않았고,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들도 항공기 산업에는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대규모 항공 회사들은 자동차 회사와는 무관한 새로운 벤처 기업에서 발전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대기업은 혁신을 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몇 가지 성공적인 사례를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위생 용품 및 의료 기구를 개발한 존슨 앤드 존슨, 산업용 및 가정용 공학 제품을 개발한 3M 등은 대표적인 혁신 기업입니다. 또한 독일의 훽스트(Hoechst)와 같은 세계 최대 화학 회사들 중 하나는 제약 분야에서 혁신적으로 성공한 기업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규모가 큰 기업이 혁신과 기업가 정신을 추구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오히려 역사적으로 보면 소규모 조직이 혁신적이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혁신적인 조직을 만들 수 있을까요? 먼저, 조직 내에서 혁신을 받아들이고 촉진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조직 구성원 모두가 혁신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혁신이 조직의 핵심 가치로 자리 잡아야 합니다. 또한 혁신의 목표와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조직 내에서 공유해야 합니다.


 또한 혁신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책과 프로세스를 수립해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내부 활동과 자원을 검토하고, 자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기업가 정신과 혁신은 자연 발생적이거나 창조적인 것이 아닌, 노력과 작업의 결과물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대기업도 혁신을 통해 성장할 수 있으며, 혁신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혁신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