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가 신속한 현대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들은 끊임없는 혁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내부에서 아이디어를 발견하기 어려울 때에는 외부의 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훔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경영의 대가 톰 피터스가 강조하는 성공 전략 중 하나로, '외부 아이디어를 차용하는 것이 미래의 초우량 기업의 필수요소'라는 그의 견해를 따르는 것입니다.
아이디어 창의적으로 훔치기란?
아이디어 창의적으로 훔치기란 무엇일까요? 이는 자신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외부 사례에서 찾아와 창의적으로 조직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총 3단계를 거치며 진행됩니다.
아이디어 훔치기의 1단계: 문제 정의
아이디어 훔치기의 첫 단계는 문제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태블릿 PC를 갖고 싶지만 돈이 없다'는 문제 상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훔치기의 2단계: 문제 개념화
다음은 2단계로, 문제를 개념화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문제를 더 넓은 시각에서 보아 일반화하는 과정입니다. 즉, '태블릿 PC를 갖고 싶지만 살 돈이 없다'는 문제를 '돈을 들이지 않고 물건을 얻는 방법'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아이디어 훔치기의 3단계: 회부 사례에서 해결책 찾기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는 이러한 개념에 부합하는 외부 사례에서 힌트를 찾아 적용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태블릿 PC를 일정 기간 무료로 사용하고 후기를 작성하는 등의 대안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창의적으로 훔치기'를 통한 광동제약의 성공 사례
외부의 아이디어를 자신의 문제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아이디어 창의적으로 훔치기' 전략을 통해, 광동제약의 비타500은 큰 성공을 이루었습니다. 광동제약은 비타민C를 물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고객의 불편함을 먼저 인지했습니다. 이후 '비타민을 챙기는 일이 번거롭다'는 문제 정의를 통해 '약을 쉽게 먹는 방법'이라는 개념을 도출하고, 이에 박카스의 음료화 전략에서 힌트를 얻어 비타민을 음료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이는 비타500의 큰 성공으로 이어지며 아이디어 훔치기의 좋은 예시가 되었습니다.
일본의 Bio International Japan의 혁신 사례
또 다른 사례로 일본의 Bio International Japan 기업이 있습니다. 이 회사는 마스크 착용 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감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훔쳤습니다. 그들은 '마스크 착용의 불편함'을 문제로 설정하고 '이물질 유입 방지'를 과제로 개념화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필터가 분리되는 마스크의 아이디어를 찾아내, 간편하게 덧바를 수 있는 쿠션 팩트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혁신적인 화장품으로 평가받았고, 성공적으로 시장에 자리 잡았습니다.
마무리
외부에서 아이디어를 찾아와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기업이 자체적인 사고 틀에서 벗어나 외부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찾아내어 활용한다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의 성공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외부 아이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기업들이 바로 미래의 성공 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Dr. Peter Kim 영문 블로그>
https://fortheleaders.tistory.com
<Dr. Peter Kim 국영문 블로그>
https://effectiveperson.tistory.com
'창의·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는 창의성과 혁신의 원천 (32) | 2023.09.10 |
---|---|
브레인스토밍 말고 바디스토밍 (31) | 2023.09.09 |
두려움을 이기는 혁신 전략: 작게 빠르게 실패하라 (95) | 2023.08.26 |
비주얼 씽킹, 조금 낯설지요? 알고보면 쉬운거예요. (45) | 2023.08.19 |
P&G의 혁신적인 R&D전략: 오픈 이노베이션과 NIH 신드롬 극복 (46)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