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적 리더십이란 리더가 구성원의 역량과 동기, 그리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상황적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믿음과 상황적 리더십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합니다.
상황적 리더십이란?
상황적 리더십이란 리더가 구성원의 역량과 동기, 그리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1969년에 허시와 블랜차드가 제안한 이론으로, 리더십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적응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상황적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더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중요한 몇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구성원에 대한 믿음
첫 번째는 ‘구성원들은 스스로 개발하기를 원하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다고 믿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성원들에 대한 믿음이 없다면 그들이 제대로 성장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반대로 구성원들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그들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게 될 것입니다. 구성원들의 역량과 동기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리더는 그들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파트너십의 중요성
두 번째는 ‘리더십은 곧 파트너십이다’라는 것이다. 이것은 구성원들이 혼자서 성과를 달성하기 보다는 리더와 함께 협력하고 신뢰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리더가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하고,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적절한 자율성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여와 의사소통의 필요성
세 번째는 ‘구성원들은 참여와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의사소통이라는 것은 고전경영이론에서 언급한 호손연구의 결과를 다시한번 이해해야 합니다. 호손연구란 작업 현장의 환경이 생산성에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연구였는데 연구결과는 작업환경의 영향력은 거의 없었습니다. 결국 작업자들은 누군가가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한다면 성과가 높게 나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리더는 구성원들과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그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인정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상황적 리더십의 장점과 단점
상황적 리더십은 리더가 구성원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고, 구성원의 개인적인 특성과 필요에 맞춰 리더십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구성원의 역량과 동기를 향상시키고,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황적 리더십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어렵고,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것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며, 구성원들이 일관성 없는 리더십에 혼란스러워하거나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더는 상황적 리더십의 장단점을 고려하고, 자신의 리더십 스타일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마무리
상황적 리더십은 리더가 구성원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구성원에 대한 믿음, 파트너십의 중요성, 참여와 의사소통의 필요성 등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상황적 리더십은 리더가 구성원에게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과 함께 무엇인가를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파트너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모든 리더십 이론에서는 리더들의 중요성이 강조되지만 특히 상황적 리더십에서 만큼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수 밖에 없습니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과를 위한 리더십 첫 번째 요소, 일(전문성) (35) | 2023.08.21 |
---|---|
나는 리더, 너는 관리자...이게 맞나? (53) | 2023.08.20 |
권력이 결핍된 리더십?? (48) | 2023.08.19 |
희생증후군을 이겨내는 리더십의 비밀 (60) | 2023.08.15 |
리더십, 두려움을 해소해야.. (78)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