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쏟아지는 수많은 신상품 중에서 실제로 시장에서 성공하는 제품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대다수는 짧은 인기를 끌다가 금방 사라지는 반짝 상품에 그치죠. 예를 들어,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하얀국물라면'처럼 말입니다. 그렇다면 잠깐의 인기에 그치는 반짝 상품과 오랜 기간 동안 잘 팔리는 대박 상품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일본의 마케팅 전문가 우메자와 노부요시는 그의 저서 '히트상품을 만드는 특별한 비밀'에서 대박 상품의 비결은 '독특한 상품 컨셉'에 있다고 말합니다. 성공적인 상품 컨셉은 '불편함', '트렌드', '솔루션'의 세 가지 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한다고 강조하는데요, 이 중 하나라도 빠지면 상품은 반짝 인기에 그치고 맙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오랜 기간 잘 팔리는 대박 컨셉을 만들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해답은 '대박 컨셉을 만드는 3단계 프로세스'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불편함 찾기'입니다. 소비자들의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불편함을 관찰을 통해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유니클로는 20~30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내복 제품 개발 시, 이들이 내복을 기피하는 이유에 대해 깊이 파고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내복은 두껍고 스타일을 해치며, 나이 든 사람들이 입는 옷처럼 느껴져 창피하다'는 불편함을 발견했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트렌드 찾기'입니다. 최근 몇 년간의 사회문화적, 경제적, 기술적 트렌드를 분석하여 제품에 반영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찾는 것입니다. 유니클로는 장기 불황 속에서 소비자들이 '실속형 소비'를 추구하는 트렌드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실내난방 온도 낮추기 운동 등의 트렌드에 주목했습니다.
마지막 단계는 '솔루션 찾기'입니다. 앞서 발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트렌드를 반영한 솔루션을 찾아야 합니다. 유니클로는 도레이와의 제휴를 통해 얇지만 보온성이 뛰어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패셔너블하면서도 따뜻한 '패션 내복'을 만들어냈습니다. 이 제품은 '히트텍'으로 알려지며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동서식품의 '카누' 커피도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탄생했습니다. 동서식품은 커피믹스를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불편함을 관찰하고, 최근의 커피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여, 고급 인스턴트 블랙커피 '카누'를 개발했습니다. 이 제품은 전문점 수준의 맛과 편리함을 제공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으며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처럼 성공적인 제품 개발에는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만이 아니라 시장과 소비자의 필요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해결책을 제시하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은 단기적인 인기를 넘어 오랜 기간 사랑받는 대박 상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고객·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한 소비자의 시대 (13) | 2023.11.20 |
---|---|
이미 시작되어 진행되는 '크로스젠더 마케팅'현상 (8) | 2023.11.19 |
고객이 직접 만들고, 직접 고르게 하는 신제품. (8) | 2023.11.18 |
고객 창조를 위한 진정한 마케팅과 혁신의 중요성 (18) | 2023.11.05 |
성공적인 세일즈를 위한 내 편, '고객사'에 있습니다. (22)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