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혁신

적과의 동침? 성공의 또 다른 가능성

Dr. Peter Kim 2023. 9. 12. 07:30
반응형

경쟁적 협력으로 경쟁사와 함께 협력, 비용 절감과 혁신적인 성과

 

 이미 오래전에 세계적인 마케팅 전문가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는 고객에게 탁월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그저 기업들 간의 상호 협력을 넘어, 심지어 경쟁사들과의 협력, 즉 '경쟁적 협력'(Coopetition)이 더욱 중요해진 시대를 의미합니다. 그의 오래전 주장이지만 오늘날에도 매우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경쟁적 협력이란, 시장에서는 경쟁을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경쟁사들과 협력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협력이 과연 가능할까요?



 협력과 경쟁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사례로는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다임러(Daimler AG)의 경험이 있습니다. 다임러는 2005년에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기존의 자동차 생산 방식에 변화를 가져와야 할 상황이었습니다. 이때 다임러는 경쟁사인 GM과 BMW 그룹과 손을 잡아 연구개발에 드는 비용을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각 회사는 자신들의 연구인력을 투입해 공동개발센터를 설치하고, 하이브리드카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로 인해 각 회사는 예상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2010년, 다임러가 르노-닛산과의 협력을 시작한 것이 있습니다. 두 회사는 공동으로 공장을 설립해 시설과 설비 비용을 아끼며, 서로 다른 회사라도 공통으로 필요한 부품들을 한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법을 채택했습니다. 이런 협력의 결과, 양 회사는 생산 비용을 절감하며 효율적인 경영을 이뤄냈습니다.

 이처럼, 경쟁 사이에서도 협력의 기회를 찾아내는 것은 현대 비즈니스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런 접근방식의 또 다른 사례로는 글로벌 생활용품 제조업체인 P&G가 있습니다. P&G는 '임프레스(impress)'라는 신기술을 개발했지만, 시장 진출에 있어 여러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때 경쟁사인 클로록스와 협력하여 '글래드(Glad)'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만들었고, 이 브랜드를 통해 양 회사는 상호 혜택을 얻으면서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위의 사례들은 경쟁적 협력이라는 전략이 어떻게 기업의 비용을 줄이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경쟁사를 파트너로 삼아 도전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은 많은 기업들에게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당신의 회사도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 협력의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런 협력을 통해 기업은 더 큰 성과를 이뤄낼 수 있습니다. 기업이 협력적인 자세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내는 것이 바로 현대 시대의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